아, 엄청 더운 줄 알았는데,
어제 술을 너무 마셨더니
오늘은 등골이 시리네요 ㅎㅎㅎ
회사는 에어컨을 너무 틀어서
지금 자켓을 하나 입고 있을 정도로 추운 거 같아요....
물론 밖에 나가면 다시 식은 땀과 함께
땀이 줄줄 흐르지만요 ㅎㅎㅎ
자, 본론으로 넘어가서 오늘은 에이전트 라이선스 자격 시험의
시험 범위에 대해 알아볼게요.
[사진 출처 : 대한축구협회 홈페이지(http://kfa.or.kr)]
처음 나온 과목은 FIFA의 정관입니다. 2009년 6월 3일에 정기총회에서 개정된 사항까지 반영이 되어 있는데요.
모든 규정의 기반이 되는 부분입니다.
규정 자체가 영어이기 때문에 FIFA 스타일의 영어에 익숙해지는게 정말정말 중요한데요.
정관을 쭉~ 읽어나간 후에 모르는 단어들을 체크해놓고 빠짐없이 외우는게 가장 필요합니다.
그리고 뒤쪽에 나올 시험 범위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므로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정관시행세칙이라고 하는 부분입니다.
정관의 특정 부분에 대해 세부적인 조항을 만들어 놓은 파트인데요.
이 부분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세부적인 조항들을 구체화 시켜놓은 부분이라 시험에서도 출제가 자주 되기도 하구요.
선수 지위와 이적에 관한 규정입니다.
여기는 정말 1조부터 부록 5번까지 머릿 속에 통째로 넣어두어야 하는 부분이구요.
예외조항이 워낙 많아서 그 부분에 대해 세세하게 다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예외조항을 하나라도 놓치면 틀리는 문제가 대다수구요.
풋살 선수의 지위와 이적에 관한 규정입니다. 2년에 한 번정도 한문제정도 출제되는 것 같습니다.
선수 지위와 이적에 관한 규정을 완벽하게 알고 있다면 이 규정을 보는 것은 굉장히 쉽습니다.
몇 가지 차이 및 예외 사항만 외우면 끝나거든요.
에이전트 규정입니다.
다시 말해, 에이전트의 시험절차, 자격 요건 등에 대해 자세히 명시되어 있는 규정입니다.
이 부분 또한 거의 통째로 외워놓고 있어야 하긴 하지만
예외 조항이 그다지 많지 않아서 공부하기는 수월합니다.
PSC, DRC의 판결 시행 세칙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네요.
PSC와 DRC는 후에 다시 설명드리겠지만,
여기서는 FIFA 내 분쟁을 해결하는 기구라고 쉽게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분쟁 처리 절차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는데, 시험 내에서 그렇게 비중이 높진 않습니다.
FIFA 징계 코드입니다.
분쟁이 일어났을 때 FIFA에서 구단, 선수, 혹은 다른 관계자들에게 어떻게 징계를 부여하는가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징계는 이 코드에 기반하여 내려지게 되구요.
하지만 시험에서는 그리 중요치 않습니다.
회람입니다.
주요 규정에서 개정된 사항들에 관련한 이야기입니다.
새로 개정된 부분은 시험에 나오기 쉽습니다~
시험 문제를 내는 분들은
"규정이 바뀌었는데, 바뀐 내용에 대해 잘 알고 있는가" 테스트하기 위해서
개정된 부분에 대한 문제를 만들어내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중요도 역시 높게 매겼습니다.
위 내용은 FIFA의 규정입니다.
상기의 규정은 아래의 링크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에서 내는 문제는 5문제입니다.
아래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대한축구협회의 문서 및 규정을 보실 수 있습니다.
시험범위는 전체적으로 이정도입니다.
어제 술을 너무 마셨더니
오늘은 등골이 시리네요 ㅎㅎㅎ
회사는 에어컨을 너무 틀어서
지금 자켓을 하나 입고 있을 정도로 추운 거 같아요....
물론 밖에 나가면 다시 식은 땀과 함께
땀이 줄줄 흐르지만요 ㅎㅎㅎ
자, 본론으로 넘어가서 오늘은 에이전트 라이선스 자격 시험의
시험 범위에 대해 알아볼게요.
네번째 이야기 : 시험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FIFA PLAYERS' AGENT 시험 범위는 좀 광범위한 편입니다.
문제가 총 20문제가 나오는데,
이 중에 FIFA 규정 문제가 15문제, 국내 규정 및 민법 문제가 5문제가 나오죠.
아래 그림은 대한축구협회에서 공지했던 과목의 내용입니다.
FIFA 규정 과목부터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죠.
그리고 과목별로 시험에 있어서 중요도를 체크해보도록 할게요 ㅎㅎ
문제가 총 20문제가 나오는데,
이 중에 FIFA 규정 문제가 15문제, 국내 규정 및 민법 문제가 5문제가 나오죠.
아래 그림은 대한축구협회에서 공지했던 과목의 내용입니다.
FIFA 규정 과목부터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죠.
그리고 과목별로 시험에 있어서 중요도를 체크해보도록 할게요 ㅎㅎ
* FIFA Statutes, as adopted at the Ordinary Congress in Nassau on 3 June 2009
(중요도 : ★★★☆☆)
(중요도 : ★★★☆☆)
처음 나온 과목은 FIFA의 정관입니다. 2009년 6월 3일에 정기총회에서 개정된 사항까지 반영이 되어 있는데요.
모든 규정의 기반이 되는 부분입니다.
규정 자체가 영어이기 때문에 FIFA 스타일의 영어에 익숙해지는게 정말정말 중요한데요.
정관을 쭉~ 읽어나간 후에 모르는 단어들을 체크해놓고 빠짐없이 외우는게 가장 필요합니다.
그리고 뒤쪽에 나올 시험 범위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므로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 Regulations Governing the Application of the FIFA Statutes, as adopted at the Ordinary Congress in Nassau on 3 June 2009
(중요도 : ★★★★☆)
(중요도 : ★★★★☆)
정관시행세칙이라고 하는 부분입니다.
정관의 특정 부분에 대해 세부적인 조항을 만들어 놓은 파트인데요.
이 부분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세부적인 조항들을 구체화 시켜놓은 부분이라 시험에서도 출제가 자주 되기도 하구요.
* FIFA Regulations on the status and transfer of players, edition 2009, including the Annexes (1 to 5)
(중요도 : ★★★★★)
(중요도 : ★★★★★)
선수 지위와 이적에 관한 규정입니다.
여기는 정말 1조부터 부록 5번까지 머릿 속에 통째로 넣어두어야 하는 부분이구요.
예외조항이 워낙 많아서 그 부분에 대해 세세하게 다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예외조항을 하나라도 놓치면 틀리는 문제가 대다수구요.
* Rules for the Status and Transfer of Futsal Players, Annex 6 of the FIFA Regulations on the Status and Transfer of Players
(중요도 : ★★★☆☆)
(중요도 : ★★★☆☆)
풋살 선수의 지위와 이적에 관한 규정입니다. 2년에 한 번정도 한문제정도 출제되는 것 같습니다.
선수 지위와 이적에 관한 규정을 완벽하게 알고 있다면 이 규정을 보는 것은 굉장히 쉽습니다.
몇 가지 차이 및 예외 사항만 외우면 끝나거든요.
* FIFA Players' Agents Regulations, edition 2008, including the Annexes 1, 2 and 3
(중요도 : ★★★★☆)
(중요도 : ★★★★☆)
에이전트 규정입니다.
다시 말해, 에이전트의 시험절차, 자격 요건 등에 대해 자세히 명시되어 있는 규정입니다.
이 부분 또한 거의 통째로 외워놓고 있어야 하긴 하지만
예외 조항이 그다지 많지 않아서 공부하기는 수월합니다.
* Rules Governing the Procedures of the Players' Status Committee and the Dispute Resolution Chamber, edition 2008
(중요도 : ★☆☆☆☆)
(중요도 : ★☆☆☆☆)
PSC, DRC의 판결 시행 세칙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네요.
PSC와 DRC는 후에 다시 설명드리겠지만,
여기서는 FIFA 내 분쟁을 해결하는 기구라고 쉽게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분쟁 처리 절차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는데, 시험 내에서 그렇게 비중이 높진 않습니다.
* FIFA Disciplinary Code, edition 2009, First Title: Chapter 1, Section 1 to 6, and Chapter II, Section 8
(중요도 : ★☆☆☆☆)
(중요도 : ★☆☆☆☆)
FIFA 징계 코드입니다.
분쟁이 일어났을 때 FIFA에서 구단, 선수, 혹은 다른 관계자들에게 어떻게 징계를 부여하는가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징계는 이 코드에 기반하여 내려지게 되구요.
하지만 시험에서는 그리 중요치 않습니다.
* Circulars and any annexes as follows:
- No.792: Coordinated International Match Calendar
- No.1125: Revised FIFA Players' Agents Regulations
- No.1147: Eligibility to play for representative teams
Article 15-18 of the Regulations Governing the Application of the FIFA Statutes
- No.1148: Revised Rules Governing the Procedures of the Players' Status Committee and the Dispute Resolution Chamber
- No.1160: Revised FIFA Players' Agents Regulations
- No.1185: FIFA Regulations on the Status and Transfer of Players
- No.1190: Revised Regulations on the Status and Transfer of Players-Protection of Minors
- No.1200: Amendments to the FIFA Statutes and to the Regulations Governing the Application of the Statutes
- No.1206: Revised Regulations on the Status and Transfer of Players – Protection of minors
- No.1209: Protection of minors
(중요도 : ★★★★☆)
- No.792: Coordinated International Match Calendar
- No.1125: Revised FIFA Players' Agents Regulations
- No.1147: Eligibility to play for representative teams
Article 15-18 of the Regulations Governing the Application of the FIFA Statutes
- No.1148: Revised Rules Governing the Procedures of the Players' Status Committee and the Dispute Resolution Chamber
- No.1160: Revised FIFA Players' Agents Regulations
- No.1185: FIFA Regulations on the Status and Transfer of Players
- No.1190: Revised Regulations on the Status and Transfer of Players-Protection of Minors
- No.1200: Amendments to the FIFA Statutes and to the Regulations Governing the Application of the Statutes
- No.1206: Revised Regulations on the Status and Transfer of Players – Protection of minors
- No.1209: Protection of minors
(중요도 : ★★★★☆)
회람입니다.
주요 규정에서 개정된 사항들에 관련한 이야기입니다.
새로 개정된 부분은 시험에 나오기 쉽습니다~
시험 문제를 내는 분들은
"규정이 바뀌었는데, 바뀐 내용에 대해 잘 알고 있는가" 테스트하기 위해서
개정된 부분에 대한 문제를 만들어내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중요도 역시 높게 매겼습니다.
위 내용은 FIFA의 규정입니다.
상기의 규정은 아래의 링크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한축구협회 정관
* 분쟁조정규정
* 프로축구 선수단 관리규칙
* 프로경기 경기 심판 규정 (심판부분 출제 제외)
* 민법 (계약 관계 및 개인권리의 기본원칙)
(중요도 : ★★★☆☆)
* 분쟁조정규정
* 프로축구 선수단 관리규칙
* 프로경기 경기 심판 규정 (심판부분 출제 제외)
* 민법 (계약 관계 및 개인권리의 기본원칙)
(중요도 : ★★★☆☆)
위 규정들에서 문제가 출제되는데,
문제가 어느 특정 부분이 중요하다라고 할 것 없이
골고루 나오는 편이라서 한꺼번에 썼습니다.
대한축구협회의 공식 문서 및 규정
http://kfa.or.kr/fb_info/db_rule.asp
http://kfa.or.kr/fb_info/db_rule.asp
벌써부터 겁먹으신 건 아니겠죠..? ㅎㅎ
시간 투자를 어느 정도하면 충분히 공부할 수 있는 양이니... 지금 도전해보세요!
질문이나 피드백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피파에이전트 > Become An Ag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come An Agent] 여섯번째 이야기(시험에 붙고 나면 뭘 해야 하나요?) (8) | 2010.08.20 |
---|---|
[Become An Agent] 다섯번째 이야기(공부는 얼마나 하셨나요?) (11) | 2010.08.19 |
[Become An Agent] 세번째 이야기(저도 시험볼 수 있나요?) (0) | 2010.08.17 |
[Become An Agent] 두번째 이야기(시험은 어떻게 보나요?) (6) | 2010.08.17 |
[Become An Agent] 첫번째 이야기(FIFA PLAYERS' AGENT란?) (5) | 2010.08.16 |